제목 | 보도자료 | 손가락 명품족, MZ세대를 사로잡아라, 패션뷰티업계, MZ세대 겨냥 명품 판매 전략 확산 | 작성일 | 2021-03-11 13:42 |
글쓴이 | 최고관리자 | 조회수 | 6,486 |
본문
-패션뷰티업계, MZ세대 고객을 겨냥한 명품 판매 전략 확산
-티커(Ticker), 새로운 개념의 뷰티 라이프 플랫폼 3월 중순 선보여
업계가 코로나19 장기화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명품 시장은 20~30대 젊은 소비층인 'MZ세대'의 관심이 커지며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최근 문화·소비·금융 모든 부문에서 ‘MZ세대’를 잡기 위해 심혈을 기하고 있다. MZ세대란 1980년대 초~2000년대 초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용어다.
한마디로 ‘요즘 젊은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2030세대를 말한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에 밝은 동시에 남과는 차별화된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는 게 특징이다.
◆ 코로나19 장기화 가운데 명품 시장은 'MZ세대'에 관심 커져
최근 패션업계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계속되면서 닫혀 있던 지갑이 명품 시장으로 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명품을 판매하는 온라인몰이 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전략이 나오면서 소비자 접점이 확대된 점도 주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주요 백화점은 지난해 명품 시장에서 높은 수준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백화점(28.2%)과 신세계백화점(25.3%), 롯데백화점(21.0%) 모두 20% 넘게 성장했다.
명품 판매에서 MZ세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롯데백화점의 20~30대 소비자 비중은 44.9%로 지난해(41.4%)보다 3.5%포인트(p)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은 30대가 39.8%로 가장 많았다.
젊은 소비층의 명품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은 해당 연령층이 지니고 있는 소비 성향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특수성이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 순간에 충실하자’는 욜로(YOLO) 트렌드와 과시 소비를 뜻하는 플렉스(Flex) 문화는 MZ세대의 명품 소비로 이어졌다.
부모 세대가 몇 백, 몇 천만 원짜리 명품을 장롱 속에 고이 모셔 두고 가끔 꺼내 썼다면, MZ세대는 매일 꺼내 쓸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신(NEW) 명품’을 선호한다.
브랜드 역사는 10년 안팎으로 짧지만 품질과 이미지는 검증된 브랜드들이 이 그룹에 속한다.
◆ 패션뷰티업계, MZ세대 고객을 겨냥한 명품 판매 전략 더욱 확산
이와 같은 상황에 따라 패션업계서는 MZ세대 고객을 겨냥한 명품 판매 전략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런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전통의 하우스 명가들도 일제히 팔을 걷고 나섰다.
지난해 에르메스·까르띠에·프라다 등이 자사 온라인 몰을 오픈했다.
국내 패션·뷰티업계도 온라인 소비 전환에 대한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디지털 대전환'과 '사업 체질 혁신', '강한 브랜드'를 만들겠다는 것이 올해 3대 추진 전략이다.
디지털 대전환 전략은 크게 온·오프라인채널 연계 시너지, 신기술 적용, e커머스 경쟁력 강화로 압축된다
과거 화장품 성장 주축이었던 오프라인 매장 확대 전략은 과감한 철수로 전환하고, 기존 매장의 경우 온·오프 시너지를 강화한다.
지난해 6월 선보인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내 '아모레스토어'가 대표적이다.
아모레스토어는 개방형 구조의 뷰티바인 '언택트존'을 구성해 고객이 직접 제품을 비교하고 체험하거나 증강현실(AR) 메이크업 체험 서비스로 테스트할 수도 있다.
롯데온은 최근 할인 이벤트에서 전통적인 명품 브랜드뿐 아니라 컨템포러리 브랜드까지 선보이며 명품 수요 잡기에 나섰다.
컨템포러리 브랜드로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워 명품 시장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춘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롯데온의 매출을 살펴보면 뷰티 상품 매출은 매월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고 있다.
AK플라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종합쇼핑몰 AK몰은 뷰티 전문관 ‘샤샤뷰’를 오픈하고 고객 확대에 나섰다.
‘샤샤뷰’는 방문하는 고객에 따라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식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 뷰티 전문관으로 상대적으로 뷰티 상품을 구매할 때 고민이 많아 쇼핑 시간이 긴 MZ세대 여성 고객을 타깃으로 한다.
통합 뷰티 플랫폼 티커(Ticker), 새로운 개념의 뷰티 라이프 플랫폼 3월 중순 선보여
이와 함께, 국내 차세대 뷰티 테크기업 ㈜타키온비앤티(타키온B&T)에서 3월 중순에 선보이는 통합 뷰티 플랫폼 티커(Ticker)는 MZ세대의 프리미엄 뷰티 수요를 적극 공략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해외 명품 화장품 브랜드 ‘로라 메르시에(LAURA MERCIER)’와 ‘샹테카이(Chantecaille)’ 및 국내 화장품 기업 아모레퍼시픽의 ‘에스쁘아(espoir)’와 계약을 완료하여 뷰티업계의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에 계약을 완료한 로라 메르시에, 샹테카이, 에스쁘아 등 색조 화장품 브랜드는 신제품을 세계 최초 비대면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티커 앱을 통해 제공할 예정으로 뷰티 업계의 센세이션을 일으킬 전망이다.
티커(Ticker)는 증강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색조 화장품 브랜드의 실제품 체험과 가상 성형을 지원하는 AR 뷰티 카메라와 다자간 영상통화 중에도
세계 최초로 AR 뷰티 카메라 사용이 가능하여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다양한 메이크업을 랜선으로 즐길 수 있도록 뷰티에 특화된 새로운 개념의 라이프 플랫폼이다.
또한, ‘티커(Ticker)’는 과거 오프라인 로드숍에서 직접 제품을 테스트해보고 구매해오던 뷰티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과 니즈를 온라인(앱) 상에서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제품 가상 체험’ 기능으로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코스메틱 제품을 체험해보고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차세대 ‘비대면 유통 채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프리미엄 뷰티를 추구하는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티커 앱은 론칭을 기념하여 3월 중순부터 8주간 티커 앱에 입점된 국내외 화장품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공유한 유저 중 추첨을 통하여 ‘로라 메르시에’, ‘샹테카이’, ‘에스쁘아’ 등 실제 화장품을 증정하는 티커 드로우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티커(Ticker), 새로운 개념의 뷰티 라이프 플랫폼 3월 중순 선보여
업계가 코로나19 장기화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명품 시장은 20~30대 젊은 소비층인 'MZ세대'의 관심이 커지며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최근 문화·소비·금융 모든 부문에서 ‘MZ세대’를 잡기 위해 심혈을 기하고 있다. MZ세대란 1980년대 초~2000년대 초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용어다.
한마디로 ‘요즘 젊은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2030세대를 말한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에 밝은 동시에 남과는 차별화된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는 게 특징이다.
◆ 코로나19 장기화 가운데 명품 시장은 'MZ세대'에 관심 커져
최근 패션업계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계속되면서 닫혀 있던 지갑이 명품 시장으로 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명품을 판매하는 온라인몰이 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전략이 나오면서 소비자 접점이 확대된 점도 주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주요 백화점은 지난해 명품 시장에서 높은 수준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백화점(28.2%)과 신세계백화점(25.3%), 롯데백화점(21.0%) 모두 20% 넘게 성장했다.
명품 판매에서 MZ세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롯데백화점의 20~30대 소비자 비중은 44.9%로 지난해(41.4%)보다 3.5%포인트(p)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은 30대가 39.8%로 가장 많았다.
젊은 소비층의 명품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은 해당 연령층이 지니고 있는 소비 성향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특수성이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 순간에 충실하자’는 욜로(YOLO) 트렌드와 과시 소비를 뜻하는 플렉스(Flex) 문화는 MZ세대의 명품 소비로 이어졌다.
부모 세대가 몇 백, 몇 천만 원짜리 명품을 장롱 속에 고이 모셔 두고 가끔 꺼내 썼다면, MZ세대는 매일 꺼내 쓸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신(NEW) 명품’을 선호한다.
브랜드 역사는 10년 안팎으로 짧지만 품질과 이미지는 검증된 브랜드들이 이 그룹에 속한다.
◆ 패션뷰티업계, MZ세대 고객을 겨냥한 명품 판매 전략 더욱 확산
이와 같은 상황에 따라 패션업계서는 MZ세대 고객을 겨냥한 명품 판매 전략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런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전통의 하우스 명가들도 일제히 팔을 걷고 나섰다.
지난해 에르메스·까르띠에·프라다 등이 자사 온라인 몰을 오픈했다.
국내 패션·뷰티업계도 온라인 소비 전환에 대한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디지털 대전환'과 '사업 체질 혁신', '강한 브랜드'를 만들겠다는 것이 올해 3대 추진 전략이다.
디지털 대전환 전략은 크게 온·오프라인채널 연계 시너지, 신기술 적용, e커머스 경쟁력 강화로 압축된다
과거 화장품 성장 주축이었던 오프라인 매장 확대 전략은 과감한 철수로 전환하고, 기존 매장의 경우 온·오프 시너지를 강화한다.
지난해 6월 선보인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내 '아모레스토어'가 대표적이다.
아모레스토어는 개방형 구조의 뷰티바인 '언택트존'을 구성해 고객이 직접 제품을 비교하고 체험하거나 증강현실(AR) 메이크업 체험 서비스로 테스트할 수도 있다.
롯데온은 최근 할인 이벤트에서 전통적인 명품 브랜드뿐 아니라 컨템포러리 브랜드까지 선보이며 명품 수요 잡기에 나섰다.
컨템포러리 브랜드로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워 명품 시장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춘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롯데온의 매출을 살펴보면 뷰티 상품 매출은 매월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고 있다.
AK플라자가 운영하는 온라인종합쇼핑몰 AK몰은 뷰티 전문관 ‘샤샤뷰’를 오픈하고 고객 확대에 나섰다.
‘샤샤뷰’는 방문하는 고객에 따라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식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 뷰티 전문관으로 상대적으로 뷰티 상품을 구매할 때 고민이 많아 쇼핑 시간이 긴 MZ세대 여성 고객을 타깃으로 한다.
통합 뷰티 플랫폼 티커(Ticker), 새로운 개념의 뷰티 라이프 플랫폼 3월 중순 선보여
이와 함께, 국내 차세대 뷰티 테크기업 ㈜타키온비앤티(타키온B&T)에서 3월 중순에 선보이는 통합 뷰티 플랫폼 티커(Ticker)는 MZ세대의 프리미엄 뷰티 수요를 적극 공략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해외 명품 화장품 브랜드 ‘로라 메르시에(LAURA MERCIER)’와 ‘샹테카이(Chantecaille)’ 및 국내 화장품 기업 아모레퍼시픽의 ‘에스쁘아(espoir)’와 계약을 완료하여 뷰티업계의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에 계약을 완료한 로라 메르시에, 샹테카이, 에스쁘아 등 색조 화장품 브랜드는 신제품을 세계 최초 비대면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티커 앱을 통해 제공할 예정으로 뷰티 업계의 센세이션을 일으킬 전망이다.
티커(Ticker)는 증강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색조 화장품 브랜드의 실제품 체험과 가상 성형을 지원하는 AR 뷰티 카메라와 다자간 영상통화 중에도
세계 최초로 AR 뷰티 카메라 사용이 가능하여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다양한 메이크업을 랜선으로 즐길 수 있도록 뷰티에 특화된 새로운 개념의 라이프 플랫폼이다.
또한, ‘티커(Ticker)’는 과거 오프라인 로드숍에서 직접 제품을 테스트해보고 구매해오던 뷰티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과 니즈를 온라인(앱) 상에서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제품 가상 체험’ 기능으로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코스메틱 제품을 체험해보고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차세대 ‘비대면 유통 채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프리미엄 뷰티를 추구하는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티커 앱은 론칭을 기념하여 3월 중순부터 8주간 티커 앱에 입점된 국내외 화장품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공유한 유저 중 추첨을 통하여 ‘로라 메르시에’, ‘샹테카이’, ‘에스쁘아’ 등 실제 화장품을 증정하는 티커 드로우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전글 | 타키온비앤티, 통합 뷰티플랫폼 티커(Ticker) 앱 출시 2021-03-17 | ||
다음글 | 타키온홀딩스, '타키온비앤티(TACHYON B&T)로 사명 변경 2021-03-05 |